반응형
👨🦽 2025년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
✅ 사업 개요
항목 | 내용 |
사업명 | 2025년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 |
주관기관 | 보건복지부 / 한국장애인개발원 / 지자체 |
사업목적 | 장애인의 사회 참여 확대와 소득 보장을 위한 공공형 일자리 제공 |
운영형태 | 전일제 / 시간제 / 복지일자리 / 특화형 등 맞춤형 일자리 유형 구성 |
👤 지원 대상자
구분 | 내용 |
연령 요건 | 만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|
장애등급 | 모든 등급 가능 (중증·경증 모두 포함) |
근로 가능 여부 | 근로 능력 및 참여 의사 보유자 |
기타 요건 | 보조금 중복 수급 제외 대상이 아닌 자 |
✅ 노인일자리, 공공근로 등 타 일자리사업과 중복 불가
🧩 일자리 유형 및 급여
유형 | 근무시간 | 월급여 | 주요 내용 |
전일제 | 주 40시간 | 약 2,096,000원 (2025년 기준 최저임금 적용) | 행정보조, 시설운영 등 |
시간제 | 주 20시간 | 약 1,048,000원 | 복지기관 서류정리, 민원안내 등 |
복지일자리 | 월 56시간 내외 | 약 615,000원 | 간단 사무, 복지지원 도우미 등 |
특화형 일자리 | 별도 운영 | 기관별 상이 | 발달장애인 도서관 보조 등 특화 분야 |
✅ 4대 보험 가입 + 유급휴가 포함 (근로형)
✅ 근무기관은 공공기관·복지관·지역시설 등 다양
📋 신청 방법 및 절차
1️⃣ 신청 경로
경로 | 설명 |
읍·면·동 주민센터 | 복지부서 또는 장애인담당 창구 접수 |
장애인복지관 | 지역 복지관을 통한 신청 가능 |
한국장애인개발원 | 공고 확인 후 온라인 지원 |
(https://www.koddi.or.kr) |
2️⃣ 절차 요약
단계 | 내용 |
1단계 | 공고 확인 및 신청서 접수 |
2단계 | 면접 및 적격성 심사 |
3단계 | 최종 대상자 선정 → 일자리 매칭 |
4단계 | 근로계약 체결 → 근무 시작 |
📂 필요 제출서류
서류명 | 설명 | 발급처 |
신청서 | 유형별 신청 양식 |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 |
장애인등록증 | 복지카드 또는 확인서 | 주민센터 |
신분증 사본 | 본인 확인용 | 주민등록증 등 |
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| 중복 근로 여부 확인용 | 건강보험공단 |
통장사본 | 급여 지급 계좌 | 은행 |
💡 유의사항
🔸 유형별 중복 신청 불가, 1인 1개 일자리만 참여 가능
🔸 근로 시작 이후 무단결근·성실의무 위반 시 중도 탈락 가능
🔸 근무지는 지원자 거주지와 가급적 인접하게 배정
🔸 신청은 매년 말~1월 중 접수, 조기 마감 주의
🙋 Q&A – 자주 묻는 질문
❓ Q1. 중증장애인인데 전일제 근무가 가능한가요?
A: 가능합니다.
근로 가능 여부만 확인되면 등급과 관계없이 지원 가능합니다.
❓ Q2. 이전에 복지일자리 참여했는데 다시 신청 가능한가요?
A: 가능합니다.
단, 최근 연속 참여 여부 및 성실 근로 여부에 따라 우선순위 조정 가능성이 있어요.
❓ Q3. 휠체어 이용자도 근무할 수 있나요?
A: 네!
많은 기관에서 무장애 환경 또는 배려형 업무공간을 제공합니다.
❓ Q4. 임금은 어떻게 지급되나요?
A: 근로계약 후 매월 말일 또는 익월 초에
등록된 통장으로 급여가 입금됩니다.
❓ Q5. 건강보험 가입은 어떻게 되나요?
A: 전일제·시간제 근무자는 4대 보험 의무 가입이며,
복지일자리는 근로계약이 아닌 활동형 근무로 일부 보험만 적용됩니다.
📞 문의처
기관 | 연락처 |
보건복지상담센터 | ☎ 129 |
한국장애인개발원 | ☎ 02-3433-0600 |
거주지 주민센터 복지팀 | 방문 또는 전화 문의 |
장애인복지관 | 지역별 개별 연락처 확인 |
🔍 핵심 요약
✅ 장애인 등록자 누구나, 근로의사 및 가능 여부만 확인되면 신청 가능
✅ 전일제부터 복지일자리까지 다양한 유형,
급여는 월 60만 원~209만 원 수준
✅ 지자체·장애인복지관·개발원 통해 신청, 매년 초 모집
✅ 근로계약 체결 후 정식 근무, 4대 보험·휴가 포함
✅ 무단이탈·중복지원 주의, 정기점검으로 관리
“일하는 기쁨, 사회참여의 시작은 차별 없는 기회로부터.”
2025년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은
장애인의 권리이자, 능력을 펼칠 수 있는 사회적 발판입니다.
반응형
'돈이 되는 경제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다문화가족·취약계층 운전면허교실 지원사업 신청 (4) | 2025.03.24 |
---|---|
2025년 부산 지역화폐 ‘동백전’ 운영 안내 (3) | 2025.03.24 |
2025년 청년 희망디딤돌 통장 운영사업 (0) | 2025.03.24 |
2025년 국립공원 주차장 이용요금 감면제도 (0) | 2025.03.24 |
2025년 난임부부 시술 약제비 지원사업 신청 (0) | 2025.03.24 |